남아프리카 잠비아 고원지대에 바벰바라는 부족이 살고 있는데 그들에게는 범죄가 거의 없다고 하는데 그 이유는 그들이 범죄자를 다루는 지혜로운 방법 때문이라고 전해진다.
    그들은 한 사람이 범죄하여 마을에서 문제가 되면 모든 동리 사람들이 마을 한복판에 모여서 그 범죄한 사람을 가운데 세우고 한 사람씩 돌아가면서 큰 소리로 그 죄인의 장점, 선행, 미담을 찾아서 큰 소리로 외치는 것이다. 그들은 진지하고 진실하게 그 죄인을 칭찬하고 격려한다. 이 공개법정에는 검사도, 판사도 없고, 오직 그를 변호하는 변호인들만 가득할 뿐이다. 특이한 법정이다. 그 결과 그 죄인은 다시는 죄를 짓지 않고 그 사랑에 응답하는 삶을 살겠다고 울면서 다짐하게 된다. 바벰바 부족이 범죄가 없는 아름다운 공동체가 된 비결이 바로 여기에 있다는 것이다.
    칭찬과 격려, 이것보다 우리 인생을 새롭게 하고, 자신감을 주고, 삶의 방향을 전환시키고, 다시 일어설 수 있도록 하는 더 좋은 비책은 없을 것이다.
    칭찬은 그 사람이 행한 일과 행동(doing)에 대한 긍정이다. 누구나 잘하는 일이 있다. 누구나 장점이 있다. 아무리 잘하는 일이 없어 보이는 실수투성이의 사람이라도 자세히 살펴보면 잘하는 것이 반드시 있는 법이다. 그것을 찾아 칭찬해 주면 누구나 새로운 용기를 얻고 의기 소침이라는 늪에서 빠져나와 인생을 새롭게 도전할 수 있게 된다.
    격려는 그 사람의 존재(being)을 긍정하는 것이다. 눈을 씻고 찾아 보아도 잘하는 일이 하나도 없는 사람이라고 할지라도 그 존재는 존귀한 것이다. 모든 사람은 본래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지음 받았기 때문이다. 하나님이 사랑하실 대상으로 만드셨기 때문이다. 비록 파괴되고 왜곡되었다고 할지라도 존재의 가치는 여전하고, "당신은 사랑 받기 위해 태어난 사람", 그 자체인 것이다.
    생명의 가치는 동일하다. 어른이나 어린아이나 생명의 가치는 동일하고, 사회적으로 좋은 신분을 얻은 자나 삶의 언저리에서 가슴을 펴지 못하고 사는 잡초같은 인생이나 생명의 가치는 동일하다. 그러므로 누구나 긍정받기에 충분한 존재들인 것이다.
    나는 본래 마음이 약하고 소심한 사람이다. 때로는 강한 것처멀 보이려고 애를 써 보기도 하지만 여전히 약하고 소심한 사람이다. 그래서 누가 내가 한 일이나 내 존재에 대해서 비난섞인 말이라도 하면 금방 상처받고 절망하고 분노한다. 그것을 극복하기 위해서 많은 내적인 씨름을 하곤한다. "오호라 나는 곤고한 자로다. 누가 이 약함에서 나를 건져내랴!" 그러나 누군가로부터 칭찬과 격려를 들으면 어느새 용기와 자신감을 얻고 더 잘해야겠다는 각오를 하며 일어서게 된다.
    "도가니로 은을, 풀무로 금을, 칭찬으로 사람을 시련하느니라(잠 27장 21절)"라고 하여, 칭찬과 격려 앞에서 겸손과 신중함을 잃지 말것을 성경이 경고하고 있으나, 이런 위험을 잘 극복한다는 조건으로 나는 칭찬고 격려를 받고 싶은 사람이다. 또 내가 만나는 사람을 칭찬과 격려의 마음과 언어로 대하고 싶다. 내가 섬기는 선한 교회 공동체가 칭찬과 격려로 서로를 위로하고 세우는 사랑의 향기가 넘치는 가족이 되기를 소망한다.
    주여, 내 어두운 눈을 열어 모든 이들의 장점과 존귀한 가치를 보고 칭찬과 격려가 가득한 입으로 살아가게 하소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