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나눔터 >
목사님칼럼
댓글 허용
스크랩 금지
작성자
이메일
제 목
비밀번호
※ 글 수정, 삭제시 필요
--------------------------------------------------------------------
아래는 관리자님께서 작성하신 글입니다.
--------------------------------------------------------------------
<h5 align="justify" style="text-align: justify"> </h5> <div class="page" title="Page 1"> <div class="layoutArea"> <div class="column"> <p><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i>“값으로 산 것이 되었으니 그런즉 너희 몸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라” </i>고전 6:20 <br /></span></p> <p><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br /></span></p> <p><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 중세교회 성도들</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은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어떻게 해야 구원을 얻을까?</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를 고민했습니다.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그들은 구원의 문제를 해결하는 일에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온 마음을 쏟으며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인생을 소모하고 있었습니다. 교회와 성직자들은 고행, 성지순례, 면죄부 등을 구원의 방법으로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제시했습니다. 그러나 이것들이 사람들을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죄와 죄의식으로부터 해방해주기는커녕 더 깊은 절망에 빠지게 했고 오히려 교회와 성직자들의 권력만 강화해줄 뿐이었습니다. </span></p> <p><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 루터도 이 문제로 오랜 시간 고민했습니다. 그러다가 비텐베르크 어거스틴 수도원의 탑에 있는 조그만 연구실에서 시편과 로마서를 연구하던 중에 놀라운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이른 바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루터의 탑 체험</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으로 내용은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복음 안에는 하나님의 의가 있</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고,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이 은혜의 선물을 믿음으로 받아들이면 구원에 이른다</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는 것이었습니다.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하나님께서 구원의 문제를 예수 그리스도를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통해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이미 해결해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놓으셨다는 사실을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믿기만 하면 된다는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진리를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깨달은 겁니다.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이것이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기독교 역사의 방향을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바꿨습니다. 그러고 나서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구원의 문제가 해결되었으니, 이제부터 우리는 무엇을 위해서 살아야 하는가?’</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라는 또 하나의 질문을 하게 됐습니다.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방어적인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소극적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질문에서 매우 적극적인 질문으로 바뀐 겁니다. 이 질문에 대해 종교개혁 2세대를 이끈 장 칼뱅이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간단하지만 강력하게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답했습니다.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오직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 살라.</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 바로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종교개혁 5대 강령 중의 하나인 ‘오직 하나님께 영광(Soli Deo Gloria)’</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입니다</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이 강령 하에서 살아가는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개혁교회와 성도들의 삶은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겸손하고 적극적이며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창조적이고 헌신적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은혜를 받은 사람은 은혜에 합당한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자발적 삶을 살게 되어 있습니다.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자발적 삶은 엄청난 에너지를 창출합니다. </span></p> <p><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 오직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삶은 우리를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자발적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겸손의 자리로 이끕니다.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결코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자신을 드러내거나 자랑하지 않습니다.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오직 주님만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자랑합니다.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저는 무익한 종입니다.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마땅히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해야 할 일을 했을 뿐입니다</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라고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고백합니다. 모든 것이 하나님의 은혜임을 알기 때문입니다. 장 칼뱅은 많은 업적을 남긴 위대한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종교개혁자이지만 늘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자신을 낮추고 감췄습니다.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죽음의 순간마저도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시간이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되기를 원했습니다.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그는 자신의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임종을 마주한 이들에게 “주어진 삶의 현장에서 오직 하나님의 영광을 추구하라며 살아라. 나의 무덤은 작게 만들되 묘비를 세우지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말고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장례식은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간소하게 하라’고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당부했습니다. 그는 자신을 최대한 드러내지 않는 겸손한 삶을 살다가 주님께로 돌아갔습니다. </span></p> </div> </div> </div>
첨부 파일
:
0
데이터 등록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주세요.
첨부파일 등록시 시간이 다소 오래 걸릴수 있습니다.
fCstfC0rfA==
fCstfC0rf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