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나눔터 >
목사님칼럼
댓글 허용
스크랩 금지
작성자
이메일
제 목
비밀번호
※ 글 수정, 삭제시 필요
--------------------------------------------------------------------
아래는 관리자님께서 작성하신 글입니다.
--------------------------------------------------------------------
<h5 align="justify" style="text-align: justify"> </h5> <div class="page" title="Page 1"> <div class="layoutArea"> <div class="column"> <p align="justify"><font size="2"><span style='font-family: "HCRBatang"'><i>“은사는 여러 가지나 성령은 같고 직임은 여러 가지나 주는 같으며 또 사역은 여러 가지나 모든 것을 모든 사람 가운데서 이루시는 하나님은 같으니” 고전 12:4-6 </i></span></font></p> <p align="justify"><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br /></span></p> <p align="justify"><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 우리는 지금 다원주의 시대를 살고 있습니다.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다양성을 인정하고, 다양한 의견을 존중하는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시대에 산다는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말이지요. 이런 시대에서는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차이를 인정하고 차별은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거부하는 지혜가 필요합니다.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다원주의란 말을 들을 때 종교다원주의를 연상해 불편한 마음을 갖는 분들도 많습니다. 사실 기독교는 예수 그리스도만이 길과 진리, 생명이 된다는 사실을 믿는 종교입니다. 다른 종교에도 구원이 있다는 종교다원주의식의 주장은 결코 받아들일 수도, 받아들여서도 안 됩니다. </span></p> <p align="justify"><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 그러나 다원주의는 다릅니다. 다원주의는 배제하지 않고 포용하는 것입니다. 이는 더불어 사는 지혜로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현대 민주주의의 바탕을 이루는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정신입니다. 개신교는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다원성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그래서 개신교회는 민주적인 DNA를 가지고 있습니다. 물론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불가시(不可視)적 교회는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하나님의 절대적인 통치를 받는다는 의미에서 민주적일 수 없습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통치에 절대적으로 순종해야 하기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때문입니다.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하지만 사람과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지역,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문화에 뿌리를 두고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세워지는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가시적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교회에는 구성원들의 다양한 색깔에 따른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다양한 의견과 방식이 존재하게 되어 있습니다.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그러므로 성도들은 서로의 다양성을 인정해야 합니다. 물론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교회는 하나님 안에서 공동의 신앙고백을 하며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일치(unity)를 이루지만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모두가 같은 옷을 입고 같은 행동을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하는 획일화(uniform)된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공동체는 아닙니다.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영화 ‘오징어 게임’에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나오는 사람들처럼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똑같은 초록색 옷을 입도록 만들어서는 안 됩니다. 이단은 획일성을 강조합니다. 그들은 추종자들에게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하나의 유니</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폼만 입히려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합니다. </span></p> <p align="justify"><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 중세 가톨릭교회는 교황을 정점으로 하는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일원적인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구조로 되어 있었습니다. 그래서 자연스레 구조적으로 계급이 존재하는 서열(hierarchy)이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생겨났고,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그 서열은 독재라는 통치방식을 탄생시켰습니다. 긍정적인 요소도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있긴 합니다.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비상 상황에서 빠른 결정을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통해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힘을 하나로 모으고 일사불란하게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움직여 어려운 상황을 돌파할 수 있기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때문입니다. 하지만 그것이 부패하면 걷잡을 수 없게 됩니다. 절대권력은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절대 부패합니다.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16세기에 절대적인 권력 구조를 가진 교회도 절대 부패를 피하지 못했습니다. 아무도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교회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권력에 제동을 걸 수 없었습니다.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자연스레 교회는 타락의 길로 가게 됐습니다. 그것이 중세 교회의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가장 큰 문제였습니다.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지금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우리도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이 획일성의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문제에 대해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경각심을 갖고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살아야 합니다.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언제나 타자들을 존중하며, 스스로 겸비하며 열린 마음을 가져야 합니다. 이것이 다원주의 시대를 </span> </p> <div class="page" title="Page 2"> <div class="layoutArea"> <div class="column"> <p align="justify"><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살아가는 지혜입니다. </span></p> </div> </div> </div> </div> </div> </div>
첨부 파일
:
0
데이터 등록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주세요.
첨부파일 등록시 시간이 다소 오래 걸릴수 있습니다.
fCstfC0rfA==
fCstfC0rf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