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나눔터 >
목사님칼럼
댓글 허용
스크랩 금지
작성자
이메일
제 목
비밀번호
※ 글 수정, 삭제시 필요
--------------------------------------------------------------------
아래는 관리자님께서 작성하신 글입니다.
--------------------------------------------------------------------
<h5 align="justify" style="text-align: justify"> </h5> <div class="page" title="Page 1"> <div class="layoutArea"> <div class="column"> <p><i><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또 만물을 그의 발아래에 복종하게 하시고 그를 만물 위에 교회의 머리로 삼으셨느니라” 엡 1:22 </span></i></p> <p><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br /></span></p> <p><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 교회의 주인은 예수 그리스도 한 분이십니다. 하나님은 만물을 그에게 복종하게 하시고 그를 만물 위에 교회의 머리로 세우셨습니다. 교회는 예수님을 머리로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하여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성도들이 그의 지체가 되는 공동체입니다. 정상적인 몸은 철저하게 머리의 지배를 받습니다. 머리가 결정하면 그 결정 사항이 신경을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통해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전달되면서 몸이 움직입니다. 그러므로 건강한 교회는 머리이신 주님께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완전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복종합니다. 교회 안에서 주님 이외에 그 누구도 주인이 될 수 없</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고,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되어서도 안 됩니다. </span></p> <p><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 16세기 중세 교회</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에서는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성직자들이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머리 노릇을 했습니다.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예수는 이름뿐이</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었고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그 자리를 성직자가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대체했습니다.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교회의 주인이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바뀌어 버린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거지요. 그들은 교황을 정점으로 하는 교회의 계급 구조(Hierarchy)를 만들</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었고, 7가지 성례를 통해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그 구조와 권력을 유지했습니다.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성직자만이 그 성례를 독점함으로써 거</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기서 제외된 성도들은 구원에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대해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심각한 위기에 처하게 됩니다. </span></p> <p><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16세기에 유럽에서 일어난 종교개혁은 교회의 주권을 주인이신 예수</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님께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돌려드리는 운동입니다. 그들은 예수님만이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교회의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주인이시고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성직자를 포함한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모든 성도</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all the saints)는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동등하다</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고 선언했습니다.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그러기 위해서는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우선적으로 교회의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계층구조를 깨야 했습니다.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루터의 ‘만인제사장’ 이론이 나온 것이 바로 그 때문입니다.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구원과 예배와 기도와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관련해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모든 성도는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동등한 지위를 가지며 성직자를 의지하지 않더라도 누구나 직접 하나님 앞에 나갈 수 있다’는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겁니다. 이는 당시 로마 가톨릭교회가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주장한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사제의 중보론을 부인하는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주장이었습니다. </span></p> <p><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 성직자와 평신도는 계급이 아니라 기능에 있어서 다를 뿐입니다. 그렇다고 성직자들이 하는 일을 일반 성도들이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전부 할 수 있다는 것은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아닙니다. 성직은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일종의 전문직이라 할 수 있습니다.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그것을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위해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구분되고</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 훈련 받고,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안수를 받아야 합니다. 장 칼뱅과 위그노 교회도 루터의 만인제사장설을 지지했습니다.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이에 동조하는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교회를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개혁교회라고 부르는데 이들은 루터보다 더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개혁적이었습니다. 칼뱅은 교회의 직분을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목사, 장로, 집사,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교사로 나눴고 위그노 교회는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목사, 장로, 집사</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로 나눴습니다.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이들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사이에는 어떤 계층구조도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없었습니다.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교회의 직분은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계급이 될 수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없습니다! 이후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당회, 시찰회, 노회, 총회 등의 구조를 만들어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교회의 중요사항을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결정하는 쪽으로 발전합니다. 이는 교인과 교회가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선출한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대표들</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에 의해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구성되는 대의정치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모델로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공화제와 대의민주주의</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적인 </span><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HCRBatang"'>요소를 지닙니다. </span></p> </div> </div> </div>
첨부 파일
:
0
데이터 등록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주세요.
첨부파일 등록시 시간이 다소 오래 걸릴수 있습니다.
fCstfC0rfA==
fCstfC0rf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