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나눔터 >
목사님칼럼
댓글 허용
스크랩 금지
작성자
이메일
제 목
비밀번호
※ 글 수정, 삭제시 필요
--------------------------------------------------------------------
아래는 성원용님께서 작성하신 글입니다.
--------------------------------------------------------------------
<p> <span style="font-size: 14px;">지난번 방콕 포럼에서 만난 중국 선교사님에게 물었다. “중국에서 살아</span><br /><span style="font-size: 14px;">가면서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입니까?” 그의 한 마디 대답. “관계입니다.”</span></p><span style="font-size: 14px;"></span><p><br /><span style="font-size: 14px;">관계를 중국말로 “시(?系)”라고 한다. 이 시는 만남을 통해서 시작</span><br /><span style="font-size: 14px;">되어 깊어진다. “한 번 만나면 서먹하고, 두 번 만나면 마음을 열고, 세 번</span><br /><span style="font-size: 14px;">만나면 친구가 된다.”는 속담도 있다. 관계의 꽃은 친구가 되는 것이다. 이</span><br /><span style="font-size: 14px;">친구 관계는 반복적이고 신실한 만남을 통해서 서서히 이루어지게 된다.</span></p><span style="font-size: 14px;"></span><p><br /><span style="font-size: 14px;">이런 중국인들은 친구를 표현하는 다양한 표현들을 발전시켰다.</span><br /><span style="font-size: 14px;">- 수어지교(水魚之交) / 물과 물고기처럼 친밀한 벗</span><br /><span style="font-size: 14px;">- 막역지우(莫逆之友) / 배반 없이 생사를 함께 할 수 있는 허물없는 벗</span><br /><span style="font-size: 14px;">- 금란지교(金蘭之交) / 금이나 난초처럼 귀하고 향기로운 벗</span><br /><span style="font-size: 14px;">- 관포지교(管鮑之交) / 춘추전국시대 관중과 포숙아처럼 친하고 다정한 벗</span><br /><span style="font-size: 14px;">- 죽마고우(竹馬故友) / 대마를 타고 놀던 어린 시절의 벗</span><br /><span style="font-size: 14px;">- 문경지교(刎頸之交) / 목숨을 내 주어도 좋을 정도의 친한 벗</span><br /><span style="font-size: 14px;">- 지란지교(芝蘭之交) / 지초와 난초처럼 향기로운 벗</span><br /><span style="font-size: 14px;">- 포의지교(布衣之交) / 신분, 지위를 떠난 순수한 벗</span><br /><span style="font-size: 14px;">- 지기지우(知己之友) / 마음이 잘 통하는 벗</span></p><span style="font-size: 14px;"></span><p><br /><span style="font-size: 14px;">현대인들은 손익계산과 감정을 따라 관계를 쉽게 저버린다. 진정한 친구가</span><br /><span style="font-size: 14px;">없다. 있어도 일시적이고 피상적인 관계일 뿐이다. 그래서 현대인의 내면은</span><br /><span style="font-size: 14px;">고독하고 메마르고 점점 삭막해진다.</span></p><span style="font-size: 14px;"></span><p><br /><span style="font-size: 14px;">향기롭고, 마음을 나눌 수 있고 순수하고 배반하지 않고 목숨을 내어 줄 수</span><br /><span style="font-size: 14px;">있고 다정하고 친밀한, 그런 친구가 그립다. “날씨가 차가워지고 난 후에야</span><br /><span style="font-size: 14px;">소나무의 푸르름을 알게 된다.”는 논어의 한 구절처럼, 그런 친구는 없을까?</span><br /><span style="font-size: 14px;">나는 그런 친구가 될 수 있을까? 요즘처럼 날씨가 멜랑콜리하고 스산해지는</span><br /><span style="font-size: 14px;">날이면 이런 저런 생각이 들어온다.</span></p><span style="font-size: 14px;"></span><p><br /><span style="font-size: 14px;">그러다가 문득 깨닫는다. “내게도 이런 것 다 가진 친구가 내게도 있구나!”</span><br /><span style="font-size: 14px;">(요 15:13-14) 『<strong>사람이 친구를 위하여 자기 목숨을 버리면 이에서 더 큰</strong></span><br /><span style="font-size: 14px;"><strong>사랑이 없나니 너희가 나의 명하는 대로 행하면 곧 나의 친구라</strong>』</span></p><p align="right"><span style="font-size: 14px;">여러분을 섬기는 종 <strong>성원용</strong></span></p>
첨부 파일
:
0
데이터 등록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주세요.
첨부파일 등록시 시간이 다소 오래 걸릴수 있습니다.
fCstfC0rfA==
fCstfC0rfA==